본문 바로가기

프로젝트/스마트팜4

양액관리, 온도조절, 빛의 양 조절에 관한 고찰 양액 관리 수경재배는 흙을 사용하지않고 양액에서만 영양분을 흡수함으로 양액관리가 필수적이다. 양액관리가 안되면 작물의 성장지연, 영향 과다/결핍, 해충 발생등 많은 문제점이 생긴다. 양액 제조 양액을 제조할때는 A통,B통C통,D통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잇다. A통에는 질소, 칼리, 칼슘, 철 등이 들어가며 B통은 질소, 인산, 고토, 붕소들이 들어간다. C통의 경우 대부분이 질소로 이루어져있고 C통은 PH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D통의 경우 비타민이나 영양제로 식물이 잘 클수 있게 도와준다. A와 B통의 경우 필수적이지만 C통과D통은 선택사항이다. 또한 양액을 제조할때는 꼭 나눠서 타야한다. A통의 질산칼슘을 B통에 넣게 되면 인이나 황이 칼슘이 만나면 불용화되어 이용할 수 없게 된다. 이렇게 되면 여과.. 2023. 8. 21.
UT52A 온도 컨트롤러 (2) - 동작구현 RS-485통신을 이용해서 PC(master)에서 값을 전송하여 컨트롤러에서(slave)에서 값을 받아 데이터에 따른 V값을 출력시켜 모터를 조작해보자. 이외에도 알람기능등을 활용해보자. 시작하기전에 RS-485 통신으로 값을 읽어오고 쓰는 방법을 확인해야 한다. RS-485통신을 통해 데이터 값을 읽어오는 방법 : https://seung-seop.tistory.com/7 Modbus 통신 python으로 받아오기 저번에 modbus 통신 패킷확인과 점검을 해보았는데 이번에는 pc로 받아올 수 있을지 해봐야겠다. PC와 연결을 위해 아래 485모듈을 USB로 바꿔주는 컨버터를 이용했다. 얼마 안해서 바로 사용할 수 seung-seop.tistory.com RS-485통신을 통해 데이터 값을 저장하여 출.. 2023. 8. 16.
목표 설정 - 수경재배 최근 몇십년간 기후변화의 영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더 가속화 될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여름에는 강한 폭염으로 인해 작물들이 살아남지 못하고 대한민국의 경우 태풍과 홍수도 최근 큰 문제로 화되고 있다. 현 상황에서 농업인들은 농사를 짓는데 큰 어려움을 직면하고 있다. 미래에는 인간들의 먹거리 문제로 이어질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실내에서 재배를 할 수 있는 스마트 팜(식물공장)이 해결법이라고 생각된다. 미국의 경우 스마트팜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중 스마트 팜에 자주 쓰이는 수경재배에 대해 알아보자. 수경재배 수경재배 또는 양액재배는 토양을 이용하지 않고 무토양 상태에서 여러 작물들을 물을 이용해서 여러 방법으로 재배하는 방법이다. 이는 수중 식물을 재배하는것과.. 2023. 8. 16.
UT52A 온도 컨트롤러 (1) 센서에서 값을 읽어오고 PC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UT52A라는 요꼬가와사의 온도 컨트롤러를 사용해보기로 했다. 홈페이지에 있는 스펙 내용만 간단하게 정리해보았다. Number of Control loops : 1 PV Input Type : TC, RTD, mV, V, mA Number of Analog Inputs : 1(2) Control Output : Relay Contact Output, Voltage pulse output, Current output, ON/OFF, PID, Position proportional , Heating/cooling Number of Analog Outputs : 2(3) Number of Digital Inputs : 3(5) Number of Alarms.. 2023. 8.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