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bus통신중 고려해야 할 것
1. bps 통신 속도
2. 데이터 길이 : 대부분 8비트로 설정
3. 패리티 : 통신이 잘 이루어지는지 확인. 대부분 N(None)으로 설정
4. 정지 비트 : 통신이 끝났다는 비트가 1비트를 보낼지 2비트를 보낼지 설정. 대부분 1로 설정
UT52A와 통신 점검
현재 9600bps, parity => Even, STP(stop bit)=>1 , DLN(data length)=> 8, address id=> 2로 설정
마찬가지로 PC modbus 점검 프로그램에서도 같은 설정을 해준다.
장비에서 데이터의 값이 어떤 레지스터에 저장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메뉴얼을 참고 하였다. 아래는 그 일부분이다.
위 그림에서 전압값만 필요함으로 D422003과 D42019의 값만 읽어오면 된다.
40000번대 래지스터 값을 읽기 위해 3번 함수를 사용하고, 20000부터 읽으면 될것 같다. 현재 23.67,23.59의 데이터를 받아오고 있다.
XMT: [002][003][007][080][000][100][068][031]
RCV: [002][003][072][000][000][000][000][009][092][111][067][001][116][001][116][000][000][000][065][000][001][000][001][000][000][000][000][000][005][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9][013][004][086][000][095][000][095][000][000][000][001][000][00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111][067][004][086][026][025][004][056][000][000][000][005][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5][000][000][000][005][000][000][000][005][000][000][000][005][000][000][000][000][000][000][069][104][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12][014]
다음고 같은 패킷 구성도 확인 할 수 있다.
UT52A라는 장비를 사용했는데 생각보다 메뉴얼이 상당히 길고 복잡한 기능들도 많아서 위 스펙을 가지고 오는데 시간을 좀 많이 쓴것 같다. 앞으로 잘 정리해놔서 다시 와서 볼 수 있도록 하자ㅏ....! 다음에는 python을 이용하여 serial통신으로 보낸 데이터를 배열에 넣어서 활용할 수 있게 해보자.
아래 링크로 가면 더 자세한 메뉴얼들을 확인 할 수 있다.
'제어 > modbus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dbus(4) Modbus 통신을 이용하여 python으로 입력하기 (0) | 2023.08.16 |
---|---|
Modbus(3) Modbus통신을 이용하여 python으로 데이터 받아오기 (0) | 2023.08.15 |
Modbus(1) 모드버스란? (0) | 2023.08.13 |